치와와에 대해서 알아보자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와와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너굴이선장님 2017. 12. 16.
반응형

치와와에 대해서 알아보자

 

 

 

 

치와와 견종에 대해서 알아보자

치와와 견종은 세상에서 제일 작은 크기의 견종으로 알려져 있는 견종으로 우리나라에도 많이 대중화되어서 현재도 많은 가정에서 가정견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견종 중에 하나다 치와와 견종의 기원은 정확하게 확인되어 있는 사실은 없지만 치와와 견종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가지가 있다 치와와 견종의 기원으로 꼽히는 이야기들로는 치와와 견종이 본래 중국에서 살던 견종으로 중국에서 오랫동안 사람들과 지내다가 중국에 온 스페인 무역상들과의 교역 도중에 치와와 견종이 스페인으로 유입되게 되었고 이후에 다른 유럽 국가에 알려지다가 미국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지금처럼 소형으로 개량이 되며 많은 사랑을 받고 알려졌다는 이야기가 있고 다른 이야기로는 중앙아시아 쪽에서 거주하던 톨텍 족이라는 부족이 있었는데 이 부족은 10세기경 멕시코의 인디언 부족이다 이 부족은 본인들의 종교의식을 진행할 때 그곳의 토착 견종이었던 테치치라는 견종을 본인들의 종교의식에 사용하였는데 이 테치치라는 견종이 치와와의 조상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 테치치 견종은 부족의 가족이 죽었을 때 영혼을 지하세계로 안내해줄 거라는 믿음 때문에 톨텍족은 죽은 사람과 이 테치치를 같이 묻었으며 이후 아즈텍인들은 이 테치치를 키우는 동시에 식량으로 사용하였고 톨텍족과 같이 다른 가족이 죽으면 같이 묻었다 이 때문에 개체 수가 잘 보존이 되기 힘든 환경에 있었지만 일부의 테치치를 아꼈던 사람이나 성직자들에 의해서 품종이 유지가 되어서 훗날 치와와의 조상 견종이 되었다고 한다 이 두 가지 이야기 중에서는 후자가 조금 더 학자들의 지지를 받으며 치와와의 기원이라는 쪽으로 힘이 실리고 있다 치와와 견종은 1850년도에 멕시코의 치와와주라는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스페인인들을 통해서 미국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치와와라는 이름은 이 당시 처음 발견했을 때의 그 지역에 이름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처음 미국에 넘어가서는 그렇게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였지만 룸바 춤의 왕이라도 불리던 사비에르 쿠마르라는 사람이 TV 쇼에 출연 당시에 본인의 애견인 치와와를 데리고 나오면서 유명세를 치르기 시작했고 이후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며 큰 사랑을 받으며 인기를 누렸다.

 

 

 

치와와의 특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치와와 견종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가장 작은 체구를 가진 견종이라는 점이 대표적인 특징이다 치와와 견종의 외형은 성격 기준으로 체고가 약 13cm에서 22cm 정도로 자라며 체중은 일반적으로 3kg을 넘지 않는다 작은 체구 때문에 실내에서 키우기에는 거의 제약이 없는 편이라서 가정견으로 인기가 높다 머리는 둥근 형태를 띠고 있으며 머리 옆에 위치한 귀는 머리에 비해서 큰 귀를 가지고 있으며 반듯하게 서 있고 경계심을 보일 때는 더욱 꼿꼿하게 귀를 세운다 눈을 둥글고 얼굴에 비해서 매우 큰 눈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치와와들이 많다 주둥이는 살짝 길게 나와 있으며 치아는 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는 족집게 교합이다 몸은 둥글지 않고 살짝 늘어진 늘씬한 몸을 가지고 있고 다리는 몸과의 비율이 잘 맞게 알맞은 길이다 치와와 견종의 털은 단모종인 단모 치와와와 장모종인 장모 치와와가 있는데 단모 치와와는 몸에 털이 착 붙은 느낌으로 짧은 털이 윤기 있게 자라며 장모 치와와는 목이나 귀쪽에 장식 털이 풍부하게 자라며 전체적으로 털이 풍성하게 자란다 털의 색은 일반적으로는 크림색이나 블랙탄 그리고 황갈색의 치와와가 제일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청색이나 백색 트라이 컬러 등등 매우 다양한 색을 가지고 있는 견종이다 털 빠지는 적은 편은 아니나 평소에 브러시로 잘 관리해준다면 크게 문제가 생길 정도로 털 빠짐이 있는 견종은 아니다 치와와 견종의 성격은 몸의 크기를 보면 매우 온순하며 겁이 많은 성격을 가지고 있을 것 같지만 외형적인 느낌과는 반대로 굉장히 자존심도 강하며 질투심도 강해서 공격성을 쉽게 보이는 견종이다 활발한 성격을 가졌지만 동시에 사람들에게 매우 애교가 많고 천진난만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우리나라에서는 노인분들이 많이 키우는 대표적인 견종 중에 하나로 꼽힌다 주인의 관심에 대한 욕구와 다른 대상에 대한 질투심이 굉장히 많아서 다른 동물이나 대상에 대해서 친밀하게 지내기보다는 질투심으로 인해 공격적인 모습을 쉽게 보일 수 있으니 어렸을 때부터 사회화 훈련을 통해서 행동 교정을 해주면 어디서나 사랑받는 반려견이 될 수 있는 견종이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